본문 바로가기
시사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그리고 스태그플레이션 이해하기

by 경제 크래프트 2021. 7. 28.

불황기에는 물가가 하락하고 호황기에는 물가가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 현상이다. 그러나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로 인하여 세계 경제가 경기는 후퇴를 하면서 물가가 상승을 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의 상황에 들어가고 있다.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그리고 스태그플레이션의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자.

 

 

 

그래프

 

인플레이션(Inflation)

인플레이션은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모든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경제 현상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경기가 좋아지면서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통화량의 증가, 생산이나 유통 비용 상승, 초과 수요의 발생, 독과점 기업의 가격 인상 등이 물가 상승의 원인이 됩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으로 빈부격차가 벌어지고 근로 의욕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중앙은행이 물가 안정을 위한 정책을 펼쳐야 합니다. 

 

 

 

디플레이션(Deflation)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의 반대 개념으로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한 국가의 경제에서 재화와 용역의 일반적으로 지속적인 물가의 하락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때에는 경기가 안 좋아지면서 물가도 함께 내려갑니다.

 

디플레이션은 수요의 감소가 원인으로 재고가 급증하면 생산을 줄이고 이러한 과정이 장기간 경기 불황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이나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이 대표적인 디플레이션 예입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요를 일으켜서 정상적인 물가상승이 오도록 해야 합니다. 이 상황을 해결하기 방법으로는 정부는 재정지출을 늘리고 기업은 일자리를 확충하며 금리는 내려져야 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스태그플레이션(stagnation 경기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 물가상승)을 합성한 언어로 경기불황 속에서 물가상승이 동시에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다시 말해서 경기는 침체하는 가운데 물가가 오르는 현상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원자재 물가가 상승하거나 임금 인상 폭이 높으면 기업의 생산자 물가가 상승하고 계속적으로 소비자 물가도 오르면 소비와 투자 여력이 악화되어서 경기가 침체되는 것입니다.

 

1970년대 제2차 석유파동으로 전 세계가 물가는 급등하고 국민소득은 감소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을 경험을 했습니다.  이러한 스태그플레이션을 극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기술혁신을 통한 생산성 향상으로 상품 가격 인하를 가져오고 이러한 가격 경쟁력이 있는 상품이 나오면 수요와 공급이 서로 자연스럽게 늘어나면서 물가 안정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