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 상승에 따른 지구 온난화는 폭염과 폭우 및 가뭄 등 지구촌 기상 이변을 동반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현재 약 1.1℃ 상승에 따라서 가뭄은 1.7배 증가, 강수량은 1.5배 증가, 눈 면적은 5% 감소, 열대 사이클론은 10% 증가를 가져오고 있다고 6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에서 보고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기후변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세계 기상기구(WMO)와 유엔 환경계획(UNEP)이 1988년에 공동 설립한 국제기구이다.
※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 WMO(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 세계 기상기구
※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 : 유엔 환경계획
※ UNFCCC(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 유엔 기후변화 협약
◆ 전 세계 과학자가 참여해서 발간하는 IPCC 평가보고서(AR: Assessment Report)는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와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유엔 기후변화 협약(UNFCCC)에서 정부 간 협상의 근거자료로 활용된다.
제1차 평가보고서(1990) : 유엔 기후변화 협약 채택(1992)
제2차 평가보고서(1995) : 교토의정서 채택(1997)
제4차 평가보고서(2007) : 기후변화 심각성 전파 공로로 노벨평화상 수상(엘 고어 공동 수상)
제5차 평가보고서(2014) : 파리협정 채택(2015)
제6차 평가보고서(2021) 주요 내용
- 이산화탄소 농도(ppm) : 410ppm (최근 200만 년간 전례가 없음)
- 역사적 이산화탄소 누적 배출량(GtCO2) : 2390 (2019년까지)
- 산업화 이전 대비 전 지구 평균 지표면 기온(℃) : 1.09℃ 상승 (2011년 ~ 2020년)
- 1901년 대비 전 지구 평균 해수면(m) : 0.20m 상승 (2018년)
- 2081년 ~ 2100년 전 지구 평균 지표면 온도 상승 범위(℃) : 1.0 ~ 5.7℃ (산업화 이전 대비)
- 2081년 ~ 2100년 전 지구 평균 해수면 상승 범위(m) : 0.28 ~ 1.02 (1995년 ~ 2014년 대비)
지구 온난화에 따른 지구 기후 변화 : 6차 평가보고서
1. 기온이 1850년 ~ 1900년 대비 기온 상승이 1.5℃ 될 경우
- 10년 빈도 가장 더운 날 기온이 1.9℃ 증가함.
- 10년 빈도 가뭄 발생이 2배 증가함.
- 10년 빈도로 비가 많이 내린 날의 발생빈도가 1.5배 증가함.
- 눈 덮임 면적의 변화가 5% 감소함.
2. 기온이 1850년 ~ 1900년 대비 기온 상승이 2℃ 될 경우
- 10년 빈도 가장 더운 날 기온이 2.6℃ 증가함.
- 10년 빈도 가뭄 발생이 2.4배 증가함.
- 10년 빈도로 비가 많이 내린 날의 발생빈도가 1.7배 증가함.
- 눈 덮임 면적의 변화가 9% 감소함.
3. 기온이 1850년 ~ 1900년 대비 기온 상승이 4℃ 될 경우
- 10년 빈도 가장 더운 날 기온이 5.1℃ 증가함.
- 10년 빈도 가뭄 발생이 4.1배 증가함.
- 10년 빈도로 비가 많이 내린 날의 발생빈도가 2.7배 증가함.
- 눈 덮임 면적의 변화가 30% 감소함.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지구 온난화의 원인은 모두 인간이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1.5℃ 상승에 대한 전망이 3년 사이에 10년 당겨졌다. 이처럼 지구 온난화의 속도는 너무 빠르게 진행이 되고 있다. 우리가 이산화탄소 배출 비율을 지금보다는 훨씬 많이 줄여야 한다. 그리고 탄소중립 정책에 잘 협력을 해야 된다고 한다. 이 보고서에 따른 지구 온난화의 경고를 잘 숙지해서 최선을 다하기를 바랄 뿐이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 : 정부 재정지원 미선정 대학 (0) | 2021.08.19 |
---|---|
OECD 가입국 2차 코로나 백신접종률 (0) | 2021.08.13 |
'탄소세'와 '탄소국경세'란 무엇인가? (0) | 2021.08.07 |
무주택 실수요자를 위한 정책금융상품은 무엇이 있는가? (0) | 2021.08.04 |
모바일 뱅크 : 카카오 뱅크와 토스뱅크 (0) | 2021.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