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 내일저축계좌 신청 조건,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

by 경제 크래프트 2023. 4. 26.

청년내일저축계좌 2023년 신청기간은 5월 1일 ~ 5월 26일까지입니다. 첫 2주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을 받으며, 5월 15일부터는 복지로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도 가능합니다. 대상 청년이 3년 동안 매월 10만 원 이상 저축하면, 정부에서 매월 10만 원 또는 30만 원을 지원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신청-조건-기간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 내일저축계좌

신청 홈페이지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은 오프라인 신청은 읍면동 주민센터입니다.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5월 15일 ~ 5월 26일까지 신청을 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신청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하기

 

신청 조건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조건은 기준 중위소득 50% 청년은 나이 만 15세 ~ 39세 이하, 월 소득 10만 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기준 중위소득 100% 청년은 나이 만 19세 ~ 34세 이하, 월 소득 50만 원 초과 ~ 월 220만 원 이하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지원대상
지원대상

 

<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조건 >

청년내일저축계좌-자격조건
자격조건

 

< 2023 기준 중위소득 100% 금액 >

기준-중위소득-100
기준 중위소득 100%

 

< 2023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금액 >

기준-중위소득-50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신청 방법

청년내일저축계좌 2023년 5월 1일 ~ 5월 12일까지는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해서 출생일 기준 5부제 신청을 하면 됩니다. 그리고 5월 15일부터는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신청을 하셔도 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신청방법
신청방법

 

복지로-홈페이지
복지로 홈페이지 바로가기

 

신청 기간

2023년 5월 1일 ~ 5월 26일까지입니다. 5월 1일 ~ 5월 12일까지는 5부제를 실시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자는 출생일 끝자리에 맞게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서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그 이후에는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이 모두 가능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신청기간
신청기간

 

지원 금액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 중 기준 중위소득 50% ~ 100% 청년들은 3년 동안 매월 본인 1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지원금 매월 10만 원씩 지급합니다. 만기 후 720만 원 + 적금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 중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청년들은 3년 동안 매월 본인 1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지원금 매월 30만 원씩 지급합니다. 만기 후 1,440만 원 + 적금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지원내용
지원 내용

 

청년내일저축계좌 정부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매월 10만 원씩 저축, 3년간 근로활동 지속, '자산형성포털' 사이트에서 10시간 교육 이수, 만기 6개월 전에 '자금사용계획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조건
지원 조건

 

< 자산형성포털 홈페이지 >

자산형성포털-홈페이지
자산형성포털

 

청년내일저축계좌-자산형성포털
자산형성포털 바로가기

 

< 2023 청년내일저축계좌 >

2023-청년내일저축계좌
2023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일정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 조건

 

청년내일저축계좌-신청-기간
신청 기간 및 방법

 

 

2023.04.20 - [분류 전체보기] - 개인회생 신청자격, 신청 절차, 서류 및 신용회복위원회 홈페이지

 

개인회생 신청자격, 신청 절차, 서류 및 신용회복위원회 홈페이지

개인회생은 채무자가 채무를 조정받아 법원이 허가한 변제 계획에 따라 3년 이내 채권자에게 분할 변제를 하고 남은 채무는 면책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법원이 변제 계획안을 허가하면 채무

economy-spirit-one.tistory.com

 

 

2023.04.17 - [분류 전체보기] - 일용직 실업급여 신청방법, 계산법, 금액 및 기간

 

일용직 실업급여 신청방법, 계산법, 금액 및 기간

일용직 실업급여는 신청도 먼저 워크넷 홈페이지에서 구직신청을 한 후에, 관할 고용센터에 가셔서 실업신고를 하시면 됩니다. 일용직 실업급여 모의계산을 통해서 수급액 및 수급 기간을 확인

economy-spirit-on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