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포괄적 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산업별 전망

by 경제 크래프트 2021. 12. 18.

통상 분야의 포괄적이고 점진적인 환태평양 경제동반자 협정(CPTPP)은 다양한 이해관계자 등과의 사회적 논의를 거친 후에 가입을 할 것이라고 정부에서 발표를 했다. 이 협정의 참여국과 그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자.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 경제동반자 협정

참여국(11개국)

일본(의장국),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베트남, 캐나다, 멕시코, 페루, 칠레

 

주요 협정 내용

  • 수산물 및 공산품 역내 관세 철폐(개방률 95%대)
  • 국유기업 보조금 등 지원 금지
  • 데이터 거래 활성화

 

무역규모

  • 5조 7000억 달러(약 6716조 원)
  • 세계 무역액의 15.2%

 

인구

  • 5억 1000만 명
  • 세계 인구의 6.6%

 

 

 

한국 무역 비중

  • 수출액 비중 : 23.2%
  • 수입액 비중 : 24.8%

 

산업별 득실

유리한 점

  • 자동차, 소재·부품·장비·기계 등 공산품 분야 수출 다변화
  • 일본·호주·싱가포르 등 가입 11개국 역내 가치사슬 편입
  • 중소기업 현지 사업 진출 및 수출 기회 확대
  • RCEP 동시 가입 7개국 추가 관세 인하 효과

불리한 점

  • 일본 수산물 금수 조치 해제 요구 가능성
  • 칠레 감귤·자두·고추 등 관세 철폐 요구 가능성
  • 대일 적자 폭 확대 우려

 

 

 

 

※ RCEP(Regional Comprehensie Economic Partnership)는 동남아시아 국가연합 회원국 10개국(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라오스, 필리핀,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 인도네시아)과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한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가 참여하는 자유 무역 협정이다.

 

※ CPTPP(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는 아시아와 태평양 11개국이 2018년 3월 칠레에서 결성한 다자간 무역협상이다.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회원국

 

2021.12.17 - [분류 전체보기] - 코로나19 방역수칙 거리두기 강화 : 사적모임 4인 및 영업제한

 

코로나19 방역수칙 거리두기 강화 : 사적모임 4인 및 영업제한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코로나 확진자 인원과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의 확산으로 일상 회복을 위한 단계가 다시 강화된 거리두기를 하게 되었다. 이번에는 전국에 걸쳐 적용이 되고, 백신 접종

economy-spirit-on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