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말정산 주택자금 공제 및 월세공제 조건

by 경제 크래프트 2022. 12. 21.

연말정산 주택자금 공제에는 주택임차 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연 300만 원 한도로 공제해 줍니다. 또한 이자상환액으로 연 300만 원 ~ 1,800만 원까지 공제가 있습니다. 주택마련 공제한도는 연 300만 원이며, 월세액 세액공제 한도는 750만 원입니다.

 

주택-집
주택

 

연말정산 주택자금 공제

주택임차 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인 근로자가 국민주택규모의 주택을 임차하기 위하여 금융회사 등으로부터 차입한 차입금의 원리금상환액입니다. 총 급여 5천만 원 이하인 근로소득자가 국민주택규모의 주태글 임차하기 위하여 대부업을 경영하지 아니하는 개인으로부터 차입금의 원리금 상환액입니다. 원리금 상환액의 40% 연 300만 원 한도입니다.

 

주택임차-공제
주택임차 원리금 상환액 공제

 

장기주택 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

무주택 또는 1 주택을 보유한 세대의 세대의 세대주가 취득당사 기준시가 5억 원 이하 주택을 취득하기 위하여 당해 주택에 저당권을 설정하고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차입한 장기주택저당차입금의 이자상환액으로 연 300만 원 ~ 1,800만 원 한도로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요건으로 주택소유권 이전등기 또는 보존등기일로부터 3월 이내에 차입이고, 채무자와 저당권 설정된 주택의 소유자가 동일인이어야 합니다.

 

주택-이자-공제
이자상환액 공제

 

장기주택 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 한도

2015년 1월 1일 이후 차입분 공제한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 상환기간 15년 이상이고, 비거치식이며, 고정금리일 경우 1,800만 원
  • 상환기간 15년 이상이고, 비거치식 또는 고정금리일 경우 1,500만 원
  • 상환기간 15년 이상이고, 기타일 경우 500만 원
  • 상환기간 10년 이상이고, 비거치식 또는 고정금리일 경우 300만 원

 

2012년 1월 1일 ~ 2014년 12월 31일 차입분 공제한도는 연 500만 원입니다. 조건이 상환기간 15년 이상 비거치식 또는 고정금리이면 1,500만 원입니다. 

 

2011년 12월 31일 이전 차입분은 연 1,000만 원입니다. 상환기간이 30년 이상이면 1,500만 원입니다. 그리고 2003년 12월 31일 이전 차입분 상환기간 10년 이상은 연 600만 원입니다. 상환기간이 15년 이상은 1,000만 원이고, 상환기간이 30년 이상은 1,500만 원입니다.

 

이자-상환액-공제-한도
공제한도

 

주택마련 저축공제

주택마련저축 납입액의 40% 공제가 됩니다. 조건은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입니다. 국민주택규모 가입당시 기준시가 3억 원 이하 주택을 한 채만 소유한 세대의 세대주입니다. 공제 한도는 연 300만 원입니다.

 

주택마련-공제
주택마련 공제

 

월세액 세액공제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로서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인 근로소득자가 국민주택규모 주택 또는 기준시가 3억 원 이하 주택을 임차하기 위해 지급하는 월세액입니다. 월세액의 10%인 750만 원이 공제한도입니다.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자는 12%까지 가능합니다.

 

월세액-공제
월세액 공제

 

 

국세청 홈페이지 연말정산 안내를 잘 확인하셔서 공제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잘 신청을 하시길 바랍니다.

 

국세청-홈페이지-연말정산
국세청 홈페이지 연말정산

 

 

2022.12.20 - [분류 전체보기] -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인상 및 대상자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인상 및 대상자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2022년 12월 31일까지 기준 중위소득 30% 금액까지 인상을 합니다. 대상자는 실직, 휴업, 폐업, 질병 등으로 위기상황에 처한 가구 중에서 일반재산 기준, 금융재산 기준이 충

economy-spirit-one.tistory.com

 

 

2022.11.14 - [분류 전체보기] - 2022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 및 소득공제율

 

2022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 및 소득공제율

2022년 연말정산 소득공제는 결제수단에 따라 신용카드는 15% 공제가 되며, 체크카드 및 현금영수증은 30% 공제가 됩니다. 소득공제 대상으로 도서·공연·미술관·박물관·영화관람료 등 공제율은

economy-spirit-one.tistory.com